WOL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WOL이란 Wake On Lan의 약자로 랜선을 통해 컴퓨터를 켜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몇가지 설정을 해야한다.
1. 바이오스 설정
2. 네트워크카드 설정
3. iptime 공유기 설정
4. 어플 설정
우서 바이오스 설정.
컴퓨터를 부팅 후 Del키를 연타하여 바이오스 설정 화면으로 진입한다.
필자는 ECS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하며 각 메인보드별로 설정항목이 다를테지만 비슷한 느낌의 단어로 이루어져있을 것이다.
바이오스 화면 - Advanced - Power Management Setup 에서
Resume By PME를 Enable로 설정
EUP Function을 Disable로 설정
다음 네트워크 카드 설정
장치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 랜카드 마우스 우클릭 - 속성 - 고급
Wake on Magic Packet을 Enable로 설정
기본적으로 Enable 상태인듯 하다.
다음 iptime 공유기 설정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로 접속
(별도로 수정하지 않았다면 위 주소이다.)
관리도구 - 고급설정 - 특수기능 - WOL 기능
여기서 WOL을 사용할 PC의 MAC주소를 등록한다.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이게 iptime에서 도메인을 할당해주는 서비스 같은데,
호스트 이름, 사용자ID, 암호를 입력하고 추가를 클릭한다.
올바르게 등록되면 "정상등록"이 뜨고, 도메인이 중복되거나하면 접속상태에 중복이라고 뜰 것이다.
고급설정 - 보안기능 - 공유기 접속관리
외부 접속 보안 - 원격 관리 포트 사용에 체크 후 포트를 할당하고 적용한다.
다음은 어플설정
안드로이드 기준이다.
마켓에서 iptime WOL 어플을 다운받는다.
실행 후 "공유기 자동 검색"을 클릭
현재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다면 해당 공유기가 나타난다.
공유기 선택 후 원하는 값들을 설정한다.
이미 위에서 설정했던 공유기 설정들의 내용을 물어본다.
공유기를 추가했으면 어플에서 해당 공유기에 접속하여 WOL에 등록되어 있는 PC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든 테스트 후 와이파이를 끄고 모바일네트워크 상태에서 잘 켜지는지 확인한다.
혹은,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주소창에 [DDNS주소]:[원격관리포트] 를 사용하면 공유기에 접속이 가능하다.
ex> test.iptime.org:30000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 구글 Play 스토어 일본어 해결법 (0) | 2016.08.31 |
---|---|
Info - ico 변환 사이트 (0) | 2016.08.31 |
Info - 블루스택1 및 구버전 다운로드 사이트 (0) | 2016.08.31 |
Info - 노트북 멀티부스트 사용시 하드 부팅 순서 뒤 바뀔때 (0) | 2016.08.31 |
Info - 레노버 노트북 Fn키 전환 (F1~F12 사용) (0) | 2016.08.31 |